본문 바로가기
뉴스

🐟 어묵 한 개에 3천 원? 부산어묵 바가지논란

by kshong 2025. 8. 22.
728x90
SMALL

안녕하세요, 키노카멀티샵 홍경선입니다 :)

오늘은 자동차 이야기가 아닌, 최근 많은 분들의 눈길을 끈 부산 바가지 요금 논란 소식을 전해드리려고 합니다. SNS와 유튜브에서 크게 회자된 사건이라 혹시 보신 분들도 계실 거예요.


부산의 한 관광지에서 어묵 한 꼬치를 3000원에 판매해 '바가지 논란'이 일고 있다.

어묵 한 개에 3천 원?

부산 기장 해동용궁사 인근 노점에서 판매하는 어묵 가격이 무려 한 개 3천 원이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큰 파장이 일었습니다. 유튜버가 가격을 묻자 노점상은 태연하게 “한 개 3천 원”이라고 답했고, 이에 유튜버가 “사장님, 빌딩도 사시겠네…”라고 말한 장면이 화제가 되었죠.

문제는 맛도 특별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. 단순히 가격만 높았을 뿐, 관광객 입장에서는 실망스러울 수밖에 없었겠지요.


💸 다른 곳은 훨씬 저렴했다

같은 유튜버가 해운대 시장을 찾아 비교해본 결과는 놀라웠습니다.

  • 해운대 시장 어묵: 1개 1,200~1,400원
  • 서울 강남역 노점: 평균 1,000원

즉, 특정 관광지에서만 터무니없이 비싼 가격이 책정돼 있었던 겁니다.


😡 시민과 관광객들의 분노

영상이 공개되자 누리꾼들의 반응은 뜨거웠습니다.

  • “외국인 친구가 바가지 때문에 다시 안 오겠다고 했다.”
  • “부산 사람인데 저런 집은 절대 안 간다.”
  • “가격도 안 물어보고 네 명이 먹었다가 5만 원 넘게 나왔다.”

관광객을 상대로 한 과도한 요금이 결국 지역 이미지를 해치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


🏙️ 지자체의 입장과 한계

일부 시민들은 가격 담합을 의심하며 민원을 제기했지만, 관할 지자체는 “음식 가격은 자율이어서 강제할 수 없다”는 입장을 내놓았습니다. 결국 소비자가 스스로 조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된 것이죠.


✨ 우리가 생각해볼 점

관광지에서의 바가지 요금 문제는 단순히 가격의 문제가 아니라, 지역의 신뢰와 이미지와 직결됩니다. 잠깐의 이익은 얻을지 몰라도, 장기적으로는 관광객의 발길을 돌리게 만드는 요인이 될 수 있죠.

이번 논란이 계기가 되어, 관광지 상인들도 정직한 가격과 서비스로 신뢰를 쌓아가길 바라봅니다.


오늘 소식은 여기까지입니다. 키노카멀티샵은 앞으로도 자동차 이야기뿐만 아니라, 일상 속 다양한 이슈와 유익한 소식들을 전해드리겠습니다. 😊

728x90
반응형
LIST